안녕하세요, blogger dpark입니다.
오늘은 한거십팔곡 원문 전문 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거십팔곡
한거십팔곡 원문 전문
한거십팔곡 원문 전문 내용입니다.
2
평생애 원(願)니 다 충효이로다
3
이 두일 말면 금수(禽獸)ㅣ나 다라리야
4
애 고져 야 십재황황(十載遑遑)노라
6
계교(計較) 이더니 공명(功名)이 느저셰라
7
부급 동남(負笈東南)야 여공불급(如恐不及) 을
8
세월이 물흘 니 못이롤가 야라
10
비록 못 일워두 임천(林泉)이 됴니라
11
무심어조(無心魚鳥) 자한한(自閒閒) 얏니
12
조만(早晩)애 세사(世事) 닛고 너 조려 노라
14
강호(江湖)애 노쟈니 성주(聖主)를 리례고
15
성주(聖主)를 셤기쟈니 소락(所樂)애 어긔예라
16
호온자 기로(岐路)에 셔셔 갈 몰라 노라
18
어지게 이러그러 이몸이 엇디고
19
행도(行道)도 어렵고 은처(隱處)도 정(定)치 아냣다
20
언제야 이 결단(決斷)야 종아소락(從我所樂) 려뇨
22
려 려 이 못여라
23
이 면 지락(至樂)이 잇니라
24
우읍다 엊그제 ㅇ니턴 일을 튀 올타 하던고?
26
말리 말리 이 일 말기 어렵다.
27
이 일 말면 一身(일신)이 閑暇(한가)다.
28
어지게 엇그제 던 일이 다 왼 줄 알과라.
30
출(出)면 치군택민(致君澤民) 처(處)면 조월경운(釣月耕雲)
31
명철군자(明哲君子) 이사 즐기니
32
며 부귀위기(富貴危機)ㅣ라 빈천거(貧賤居)를 오리라
34
청산이 벽계(碧溪) 임(臨)고 계상(溪上)애 연촌(烟村)이라
35
초당심사(草堂心事)를 백구(白鷗)인들 제알랴
36
죽창정야(竹窓靜夜) 월명(月明) 일장금(一張琴)이 잇니라
38
궁달(窮達) 부운(浮雲) 치보야 세사(世事) 이저두고
39
호산가수(好山佳水)의 노 을
40
원학(猿鶴)이 내벋 아니어든 어 분이 아실고
42
람은 절노 고 은 절노
43
죽정 송함(竹庭 松檻)애 일점진(一點塵)도 업니
44
일장금(一張琴) 만축서(萬軸書) 더옥 소쇄(蕭灑)다
46
제월(霽月)이 구룸 고 솔 테 아 올라
47
십분청광(十分淸光)이 벽계중(碧溪中)에 빗거
48
어듸인 물일 며기 나조차 오다
50
날이 져물거 외야 닐 업셔
51
송관(松關)을 닫고 월하(月下)애 누어시니
52
세상애 글 이 일호말(一毫末)도 없다.
54
월색계성(月色溪聲) 어섯겨 허정(虛亭)의 오나
55
월색(月色)을 안속(眼屬)고 계성(溪聲)을 이속(耳屬)
56
드며 보며 니 일체청명(一體淸明) 야라
58
주색(酒色) 좃쟈니 소인(騷人)의 일 아니고
59
부귀(富貴) 구(求)챠 니 디 아니가ㅣ
60
두어라 어목(漁牧)이 되오야 적막빈(寂寞濱)애 놀쟈
62
행장(行藏) 유도(有道)니 리면 구테구랴
63
산지남수지북(山之南水之北) 병들고 늘근 나를
64
뉘라셔 회보미방(懷寶迷邦)니 오라말라 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