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loggerdpark 입니다.
오늘의 주요 내용은 영유아 수족구병 주의보 예방수칙은 입니다.
영유아 수족구병 주의보 예방수칙은
영유아 수족구병 주의보 예방수칙은
영유아 수족구병 주의보 예방수칙은
수족구병, 주로 유아에게 발생하는 감염병
수족구병은 주로 5세 미만 영유아에게 발생하는 감염병으로, 콕사키바이러스와 엔테로바이러스 감염이 주요 원인입니다. 보통 5월부터 환자 발생이 늘어 6~7월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에서도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은 손, 발, 입에 수포성 발진이 생기는 것입니다. 입안의 수포로 인해 아이가 음식을 먹기 힘들어할 수 있습니다. 드물게 합병증으로 인한 수막염, 뇌염, 폐출혈, 심근염, 급성 이완성 마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족구병은 환자의 비말(침방울), 분비물(침, 가래, 콧물, 대변), 수포의 진물과의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또한 환자의 분비물로 오염된 물이나 물건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으며, 염소 소독이 제대로 되지 않은 물놀이를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을 치료하는 약은 없으므로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합니다. 다만 6개월 미만의 영아,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는 경우(소변을 보지 않는 등), 증상이 심한 경우(2일 이상 발열, 팔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 경련)에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수족구병 예방 수칙
1. 올바른 손씻기: 흐르는 물에 비누나 세정제로 30초 이상 손을 씻습니다. 특히 기저귀 뒤처리, 배변, 코풀기, 기침, 재채기, 환자 돌본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2. 올바른 기침 에티켓: 옷소매 위나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기침을 합니다.
3. 철저한 환경 관리: 아이들의 장난감, 놀이기구, 집기 등을 소독하고, 환자의 배설물이 묻은 옷은 철저히 세탁합니다.
4. 수족구병 의심 시: 수족구병이 의심되면 즉시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발병 후 1주일 동안은 등원이나 외출을 자제합니다.
수족구병은 예방이 중요하므로 올바른 손씻기, 기침 에티켓, 환경 관리를 철저히 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자료 출처 :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930939&call_from=rsslink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