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bloggerdpark 입니다.
오늘의 주요 내용은 노년층 안전사고 연 평균 만건 발생 낙상 추락 주의해야 입니다.
노년층 안전사고 연 평균 만건 발생 낙상 추락 주의해야
노년층 안전사고 연 평균 만건 발생 낙상 추락 주의해야
노년층 안전사고 연 평균 만건 발생 낙상 추락 주의해야
노인 안전사고, 3년간 78만건 발생...낙상 및 추락사고 가장 많아
최근 3년간 노인 안전사고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발생한 안전사고는 총 77만9490건에 달한다. 이는 연평균 25만9830건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2021년 23만8732건, 2022년 25만9704건, 2023년 28만1054건으로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안전사고도 매년 8%가량 늘고 있다.
안전사고 원인별로는 낙상 및 추락사고가 33만3321건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했고, 교통사고가 16만4585건(21.1%)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60대 비율이 가장 높았고, 70대, 80대 순으로 이어졌다. 이는 상대적으로 활발한 사회활동을 이어가는 젊은 노인층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특히 100세 이상 노인의 안전사고는 2021년 370건이었으나 2023년 472건으로 2년 만에 27.5%나 증가했다.
교통사고의 경우 보행자 사고가 3만9842건(24.2%), 운전자 사고가 3만9676건(24.1%)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경우 보행 중 또는 운전 중 모두 교통사고 위험이 높아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이물질에 의한 기도막힘 사고도 연평균 1349건으로, 최근 3년 동안 하루 평균 4명꼴로 기도막힘으로 인해 구급 이송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8시에서 낮 12시 사이가 22만562건(28.3%)으로 오전 활동 시간에 발생 위험이 가장 높았고, 낮 12시에서 오후 4시 사이 발생 건수가 19만8064건(25.4%)으로 뒤를 이었다.
소방청 구급과장 유병욱은 "발생 장소별로 보면 절반 이상이 가정에서 일어나는 사고인 만큼 일상 속 안전사고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소방의 구조·구급서비스로 노인들의 안전을 보호해 드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자료 출처 :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28927&call_from=rsslink
댓글